Bible Words

No. W-031 율로기아 (헬 2129, εὐλογία : a blessing)

School of Grace 2021. 3. 15. 20:05

No. W-031 from No. J-16-b https://blog.daum.net/truth/172

           베라카 (히 1293, בְּרָכָה : a blessing 69회)
        율로기아 (헬 2129, εὐλογία : a blessing 16회)

["...εὐλογεῖτε τοὺς καταρωμένους ὑμᾶς,

 καλῶς ποιεῖτε τοῖς ἐπηρεαζόντων ὑμᾶς καὶ μισοῦσιν ὑμᾶς."]

 (Κατά Μαθθαῖον 5:44 Greek) 

["...율로게이테 투스 카타로메누스 휘마스,

 칼로스 포이에이테 토이스 에페레아존톤 휘마스 카이 미수신 휘마스."]

 (카타 맏다이온 5:44 한글음독)

["...너희를 저주하는 자들을 축복하라,

 너희를 모욕하고 미워하는 자들에게 선대하라."]

 (마태에 의한 5:44 한글직역)

                                       I
※ '축복'이라 번역된 히브리어 여성 명사

    '베라카' (1293, בְּרָכָה : a blessing)는 '무릎을 꿇다, 복을 구하다''라는 동사

    '바라크' (1288, בָרַךְ : to kneel, bless 330회)에서 유래한다.

※ '축복, 찬양'이라 번역된 헬라어 여성 명사

    '율로기아' (2129, εὐλογία : a blessing)는 '칭찬하다, 찬양하다'라는 동사

    '율로게오' (2127, εὐλογέω : to speak well of 43회)와 동일어에서 유래한다.

    이 동사는 '잘, 좋게'라는 부사 '유' (2095, εὖ : well)와

    '말'이라는 '로고스' (3056, λόγος : a word)의 합성어이다.

                                        II
아래에서는 히브리어 명사 '베라카'와 동사 '바라크'

그리고 헬라어 명사 '율로기아'와 동사 '율로게오'의 용례를 살펴봄으로써

성경이 말하는 이들 원어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상고해 본다.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1288, 바라크)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하리니 너는 '복'(1293, 베라카)이 될지라.

 너를 '축복하는'(1288, 바라크) 자에게는 내가 '복을 내리고'(1288, 바라크)

 너를 저주하는 자에게는 내가 저주하리니

 땅의 모든 족속이 너로 말미암아 '복을 얻을'(1288, 바라크) 것이라 하신지라"

 (창세기 12:2-3 개역개정)

"네가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청종하면

 이 모든 '복'(1293, 베라카)이 네게 임하며 네게 이르리니,

 성읍에서도 '복을 받고'(1288, 바라크)

 들에서도 '복을 받을'(1288, 바라크) 것이며,

 네 몸의 자녀와 네 토지의 소산과

 네 짐승의 새끼와 소와 양의 새끼가 '복을 받을'(1288, 바라크) 것이며,

 네 광주리와 떡 반죽 그릇이 '복을 받을'(1288, 바라크) 것이며,

 네가 들어와도 '복을 받고'(1288, 바라크)

 나가도 '복을 받을'(1288, 바라크) 것이니라"(신명기 28:2-6 개역개정)

"구원은 여호와께 있사오니

 주의 '복'(1293, 베라카)을 주의 백성에게 내리소서(셀라)"

 (시편 3:8 개역개정)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가 누구며 그의 거룩한 곳에 설 자가 누구인가?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하며 뜻을 허탄한 데에 두지 아니하며

 거짓 맹세하지 아니하는 자로다.

 그는 여호와께 '복'(1293, 베라카)을 받고

 구원의 하나님께 의를 얻으리니"(시편 24:3-5 개역개정)

"높은 사람이나 낮은 사람을 막론하고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들에게 '복을 주시리로다'(1288, 바라크)"

 (시편 115:13 개역개정)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림 같도다

 거기서 여호와께서 '복'(1293, 베라카)을 명령하셨나니

 곧 영생이로다"(시편 133:3 개역개정)

"이러므로 땅에서 자기를 위하여 '복을 구하는'(1288, 바라크) 자는

 진리의 하나님을 향하여 '복을 구할'(1288, 바라크) 것이요

 땅에서 맹세하는 자는 진리의 하나님으로 맹세하리니

 이는 이전 환난이 잊어졌고 내 눈 앞에 숨겨졌음이라"

 (이사야 65:16 개역개정)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이제는 내가 이 남은 백성을 대하기를 옛날과 같이 아니할 것인즉,

 곧 평강의 씨앗을 얻을 것이라 포도나무가 열매를 맺으며

 땅이 산물을 내며 하늘은 이슬을 내리리니

 내가 이 남은 백성으로 이 모든 것을 누리게 하리라.

 유다 족속아, 이스라엘 족속아,

 너희가 이방인 가운데에서 저주가 되었었으나

 이제는 내가 너희를 구원하여 너희가 '복'(1293, 베라카)이 되게 하리니

 두려워하지 말지니라 손을 견고히 할지니라"(스가랴 8:11-13 개역개정)

"그들이 먹을 때에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2127, 율로게오)

 떼어 제자들에게 주시며 이르시되 받으라 이것은 내 몸이니라 하시고"

 (마가복음 14:22 개역개정)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맞으러 나가 외치되

 호산나 '찬송하리로다'(2127, 율로게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곧 이스라엘의 왕이시여 하더라"

 (요한복음 12:13 개역개정)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축복하라'(2127, 율로게오)

 '축복하고'(2127, 율로게오) 저주하지 말라"(로마서 12:14 개역개정)

"믿음으로 이삭은 장차 있을 일에 대하여

 야곱과 에서에게 '축복하였으며'(2127, 율로게오),

 믿음으로 야곱은 죽을 때에 요셉의 각 아들에게 '축복하고'(2127, 율로게오)

 그 지팡이 머리에 의지하여 경배하였으며"(히브리서 11:20-21 개역개정)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2127, 율로게오)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

 한 입에서 '찬송'(2129, 율로기아)과 저주가 나오는도다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샘이 한 구멍으로 어찌 단 물과 쓴 물을 내겠느냐"

 (야고보서 3:9-11 개역개정)

"마지막으로 말하노니 너희가 다 마음을 같이하여 동정하며

 형제를 사랑하며 불쌍히 여기며 겸손하며,

 악을 악으로, 욕을 욕으로 갚지 말고 도리어 '복을 빌라'(2127, 율로게오)

 이를 위하여 너희가 부르심을 받았으니

 이는 '복'(2129, 율로기아)을 이어받게 하려 하심이라"

 (베드로전서 3:8-9 개역개정)

                                           III
위 말씀들을 종합해 보면, 히브리어 '베라카'와 '바라크' 그리고

헬라어 '율로기아'와 '율로게오'의 근간(根幹)은 하나님의 말씀인 진리이다.

이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의 복이며,

말씀에 순종하는 자가 진리 안에서 누리는 복을 말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복은 '진리'의 복이요

'의'의 복이요 '구원'의 복이요 '평강'의 복이다.

'복'은 진리를 따라 오며, 진리를 따라 흘러간다.

전자는 하나님의 '축복'이요, 후자는 하나님을 향한 '찬송'이다.

                                   by Steve Jeong
                                            * * *

p.s. : '진리'가 있는 곳에 복이 있고, '복'이 있는 곳에 진리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