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J-04
나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기 위해 와 있다!
I have come to call sinners, to repentance!
ἐλήλυθα καλέσαι ἁμαρτωλοὺς, εἰς μετάνοιαν!
"내가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노라"
(누가복음 5:32 개역개정)
"I have not come to call the righteous, but sinners, to repentance.”
(Luke 5:32 NKJV)
I
위의 본문은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와 있기 때문이다'라는
지난 시간 (No. J-03)에 이어 살펴볼 말씀이다.
이를 헬라어 원문으로 상고해 본다.
II
"οὐκ ἐλήλυθα καλέσαι δικαίους, ἀλλὰ ἁμαρτωλοὺς, εἰς μετάνοιαν."
(Κατά Λουκᾶν 5:32 Greek)
"우크 엘렐뤼다 칼레사이 디카이우스, 알라 하마르톨루스, 에이스 메타노이안."
(카타 루칸 5:32 한글음독)
먼저 '우크'는
부정 부사 '우' (3756, οὐ : not, no)가 모음 앞에서 '우크'가 된 것으로
콤마 (,) 뒤의 우위접속사 '알라' (235, ἀλλά : but)와 함께 쓰여
영어의 'not A but B'와 같이 'A가 아니라 B이다'라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엘렐뤼다 칼레사이 디카이우스'에서
'엘렐뤼다'는 '에르코마이' (2064, ἔρχομαι : to come, go)의
제2완료 능동태 직설법 1인칭 단수 동사로 '나는 와 있다'이며,
'칼레사이'는 '칼레오' (2564, καλέω : to call)의
제1부정과거 능동태 부정사로 '부르려고'이며,
'디카이우스'는 '디카이오스' (1342, δίκαιος : righteous)의
목적격 남성 복수 형용대명사로 '의로운 사람들'이 된다.
마지막으로 '하마르톨루스, 에이스 메타노이안'에서
'하마르톨루스'는 '하마르톨로스' (268, ἁμαρτωλός : sinful)의
목적격 남성 복수 형용대명사로 '죄인들'이며,
'에이스' (1519, εἰς : into)는 '~안으로'라는 목적격 전치사,
'메타노이안'은 '회개'라는 '메타노이아' (3341, μετάνοια : change of mind, repentance)의
목적격 여성 단수 명사이다.
III
따라서 '우크 엘렐뤼다 칼레사이 디카이우스, 알라 하마르톨루스, 에이스 메타노이안'을 직역하면,
'나는 의인들을 부르려고 와 있는 것이 아니라 죄인들을 회개 안으로'가 된다.
이는 예수께서 의인이 아니라 죄인들을 불러 회개시키기 위해 와 있다는 말씀이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회개시키는 주체가 바로 그리스도 예수요, 진리의 말씀이라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사람이 스스로 죄에 대하여 회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에 의해 회개가 일어난다는 점이다.
※ '회개'라 번역된 헬라어 여성 명사 '메타노이아' (3341, μετάνοια: change of mind)는
동사 '메타노에오' (3340, μετανοέω : to change one's mind)에서 유래하므로
카테고리 'Bible Words' (No. W-003 http://blog.daum.net/truth/42)에서
참고하세요.
by Steve Jeong
* * *
p.s. : "...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요 죄인을 부르러 왔노라"(막 2:17)
'Jesus (이에수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 J-06 하나님을 아는 자가 없고 찾는 자도 없다! (0) | 2020.08.02 |
---|---|
No. J-05 의인은 없나니 한 사람도 없다! (0) | 2020.07.22 |
No. J-03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와있기 때문이다! (0) | 2020.04.08 |
No. J-02-b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0) | 2020.03.26 |
No. J-02-a 너는 그의 이름을 예수라 부를 것이다! (0) | 202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