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 (데오스)

No. G-05-a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School of Grace 2020. 8. 13. 20:36

No. G-05-a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Not that we loved God, but that He loved us...
      οὐχ ὅτι ἡμεῖς ἠγαπήκαμεν τὸν Θεόν, ἀλλ ὅτι αὐτὸς ἠγάπησεν ἡμᾶς...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속하기 위하여 화목제물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라"(요한1서 4:10 개역개정)

"In this is love, not that we loved God, but that He loved us

 and sent His Son to be the expiation for our sins."(I John 4:10 SJEV)

                                                   I
위의 본문은 '우리가 그를 통해 살아나도록'이라는

지난 시간 (No. G-04-c)에 이어지는 말씀이다.

이 시간에는 '사랑은 여기 있으니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라는 부분을 헬라어 원문으로 상고해 본다.

                                                   II
"ἐν τούτῳ ἐστὶν ἡ ἀγάπη, οὐχ ὅτι ἡμεῖς ἠγαπήκαμεν τὸν Θεόν,

 ἀλλ ὅτι αὐτὸς ἠγάπησεν ἡμᾶς..."(Ἰωάννου α 4:10 Greek)

"엔 투토 에스틴 헤 아가페, 우크 호티 헤메이스 에가페카멘 톤 데온,

 알 호티 아우토스 에가페센 헤마스..."(이오안누 알파 4:10 한글음독)

먼저 '엔 투토 에스틴 헤 아가페'를 보면,

'엔' (1722, ἐν : in)은 '~안에'라는 여격 전치사,

'투토' (3778, τοῦτο : this)는 '이것'이라는 여격 중성 단수 지시대명사,

'에스틴'은 '에이미' (1510, εἰμί : is )의

현재 능동태 직설법 3인칭 단수 동사로 영어의 be 동사와 같다.

그리고 '헤' (3588, ἡ : the)는 주격 여성 단수 정관사,

'아가페' (26, ἀγάπη : love)는 주격 여성 단수 명사로 '이것 안에 있다 사랑이'가 된다.

다음으로 '우크 호티 헤메이스 에가페카멘 톤 데온'에서

'우크'는 부정 부사 '우' (3756, οὐ : not, no)가 모음 앞에서 '우크' 로 된 것이며,

'호티' (3754, ὅτι : because)는 '왜냐하면 ~때문에'라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이다.

그리고 '헤메이스 에가페카멘 톤 데온'을 보면,

'헤메이스'는 '나'라는 '에고' (1473, ἐγώ : I)의 주격 1인칭 복수 인칭대명사,

'에가페카멘'은 '사랑하다'라는 '아가파오' (25, ἀγαπάω : to love)의

제1완료 능동태 직설법 1인칭 복수 동사,

'톤'은 '토' (3588, τό : the)의 목적격 남성 단수 정관사,

'데온'은 '하나님'이라는 '데오스' (2316, θεός : God)의

목적격 남성 단수 명사로 '우리가 사랑한다 하나님을'이 된다.

마지막으로 '알 호티 아우토스 에가페센 헤마스'에서

'알'은 우위접속사 '알라' (235, ἀλλά : but)가 모음 앞에서 '알'이 된 것으로

위의 부정부사 '우' (3756, οὐ : not)와 함께 쓰여

'A가 아니라 B이다'라는 영어의 'not A but B'와 같다.

'호티' (3754, ὅτι : because )는 '왜냐하면 ~때문에'라는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이다.

그리고 '아우토스 에가페센 헤마스'를 보면,

'그 자신'이라는 '아우토스' (846, αὐτός : self, he)는 주격 남성 3인칭 단수 인칭대명사,

'에가페센'은 '사랑하다'라는 '아가파오' (25, ἀγαπάω : to love)의

 제1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 3인칭 단수 동사,

'헤마스'는 '나'라는 '에고' (1473, ἐγώ : I)의

목적격 1인칭 복수 인칭대명사로 '그 자신이 사랑했다 우리를'이 된다.

                                                     III
따라서 헬라어 원문 '엔 투토 에스틴 헤 아가페, 우크 호티 헤메이스 에가페카멘 톤 데온,

알 호티 아우토스 에가페센 헤마스'를 직역하면,

'이 안에 사랑이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한 때문이 아니라,

그가 우리를 사랑하셔서...'가 된다.

                                         - To be continued -
                                                    * * *

p.s. : 아우토스 에가페센 헤마스!